뉴스에서 종종 자동차 급발진 사고에 대해 들어보셨을겁니다. 자동차 급발진 사고는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됩니다. 막상 내가 운전 시 겪는 일이라고 생각한다면 크게 당황할 수 있습니다.
출처: 차업차득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급발진 상황이 일어나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못한채 패닉상태에 빠지기 쉽상입니다. 하지만 급발진 대처 방법을 안다면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자동차 급발진이란?
자동차 급발진이란 운전자의 주행과 관계없이 갑작스럽게 차량이 급가속 하는것입니다.
자동차 급발진의 원인은 ECU라고 하는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급발진이 일어나는 경우와 잦은 브레이크 사용 등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정확한 급발진 원인을 규명하기 힘들어 사고가 나도 자동차 원인이 아닌 운전자의 부주의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브레이크를 한번에 꾹 밟아준다
밟고 있던 엑셀 페달에서 발을 재빨리 뗀 뒤 브레이크 패달을 한 번에 꾹 밟아주세요.
당황해서 여러 번 브레이크를 나눠 밟게 되면 오히려 브레이크 압력이 잘 전달되지 않아 무력화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한번에 꾹 밟아주셔야 합니다.
■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준다
브레이크를 힘껏 밟았다면, 재빠르게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 자동차의 동력을 차단시켜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어를 주차(P)에 두게 되면 핸들이 잠겨버려 더 위험할 수 있으니 반드시 기어를 중립에 위치 시켜주셔야 합니다.
■ 주차브레이크 사용하기
차의 속도가 조금 줄어든 상태라면 주차 브레이크로 최대한 속도를 낮춰 정지시켜야 합니다.
만약 차의 속도를 줄이지 않은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급하게 당겨 채울시 자동차가 균형을 잃고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는 반드시 속도가 줄어든 상황에서 2~3번에 나누어서 서서히 올려주세요.
■ ACC까지 시동 끄기
차가 완전히 정지됐다면 시동을 꺼주세요. 차가 완전히 정차하기 전이라면 핸들이 잠겨버려 위험할 수 있으니 시동키를 이용하는 차량은 ACC ON 상태로 돌려 차량 시동을 꺼주셔야 합니다.
■ 가속이 되기 전 장애물을 이용하기
극단적 방법이기는 하지만 자동차 전문가들의 의견도 주변의 자동차나 장애물을 피해 계속 주행이 될 경우 겉잡을 수 없는 가속이 생기기 때문에 차라리 빠르게 비슷한 크기의 자동차에 충돌하는 것이 낫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자동차의 트렁크와 엔진룸을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의 절반이 분산되고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벽이나 장애물에 빨리 부딪히는 것이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장 많이 본 보드 TOP4 ✅
▶ "누구나 신청 가능" 주민센터에 '이것' 갖다주고 30만원 받으세요.
▶ "걸리면 100만원입니다.." 엄청나게 단속 심해졌다는 과태료 3가지
▶ "이 사진 빨리 지우세요"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으면 내 개인정보가 털리게 만드는 사진 3가지
▶ "이렇게 썼으면 섬유유연제 버린겁니다" 섬유유연제 제대로 사용 하는 방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