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셀프주유소로 주유를 하러 갔는데 옆에서 주유소 직원분과 차주로 보이는 분이 언성이 높아져 다투는 모습을 봤습니다. 가만히 지켜보니 자동차에 주유를 할 때 시동을 끄지않고 주유를 하고 있었고 주유소 직원분이 시동을 꺼달라고 요구를 했으니 "이 차는 시동을 안꺼도 되는차" 라며 언성이 높아져 다투고 있었습니다. 이렇듯 셀프주유소가 증가하면서 이와 같은 사실을 정말 모르거나 알고 있지만 귀찮아서 시동을 키고 주유를 넣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주유전 시동끄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주유전 시동을 반드시 꺼야하는 이유
주유 중 엔진 정지 의무를 지키지 않을 경우 소방법에 따라 최대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평소 차에 기름을 넣을 때 셀프 주유소든 그냥 주유소든 시동을 켜두고 기름을 넣으시는 분들 아마 많으실 겁니다. 그런데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이런 행동은 절대 하면 안된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지는 아래에 실험을 보시면 간단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가솔린은 겨울이나 여름이나 불을 붙이면 불이 펑하고 쉽게 붙는데요. 반면 디젤 차들은 약 50도정도의 온도에서 불이 붙기 시작합니다.
출처 : youtube 금아
그렇다면 가솔린 자동차보다 디젤 차가 안전하다는 의미일까요?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여름 날씨에는 온도가 35도 정도 되니까 경유차들은 불이 붙지가 않아 안전합니다. 하지만 시동을 켜고 주유를 하게 된다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하체 배기 시스템, 엔진 룸 안의 온도가 50도가 넘어 불이 붙게 됩니다. 그래서 디젤 차량도 화재가 일어나서 폭발할 수 있으니 주유를 하실 때에는 반드시 주의해주셔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꼭 시동을 꺼주시고 주유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많이 본 보드 TOP4 ✅
▶ "누구나 신청 가능" 주민센터에 '이것' 갖다주고 30만원 받으세요.
▶ "걸리면 100만원입니다.." 엄청나게 단속 심해졌다는 과태료 3가지
▶ "이 사진 빨리 지우세요" 휴대폰에 저장되어 있으면 내 개인정보가 털리게 만드는 사진 3가지
▶ "이렇게 썼으면 섬유유연제 버린겁니다" 섬유유연제 제대로 사용 하는 방법
댓글